Study/반응형 웹

닷홈 도메인 추가, FTP-simple을 이용해 원격 접속한 후 페이지 수정하기, PHP 기초

posey 2023. 1. 16. 09:26

 

  • UI/UX 반응형 웹디자인&웹퍼블리셔 개발자 과정 - DAY 87



Review







 

  • UI/UX 반응형 웹디자인&웹퍼블리셔 개발자 과정 - DAY 87

 

 

우선 오늘 작업할 것을 내 도메인에 추가하기 위해 대충 이런 것을 만들었다.

 

그러고 나서 닷홈 홈페이지에 접속해 새로운 도메인을 추가했다.

여기서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만들 때 무조건 메모해둘 것을 추천한다.

 

그러고 나서 파일질라에 들어가서 이전에 작업한 것을 전송한다.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 VSCode로 들어가 확장을 누르고 'ftp-simple' 이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그러면 이것을 이용해서 내 도메인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설치한 후 F1 키를 누르고 'ftp-simple: Config - FTP connecting setting'을 검색한 후 클릭한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뜨는데, 닷홈에서 작성했던 것과 동일하게 작성한다.

 

name, host, username, password만 작성하면 된다.

 

 

 

그러고 나서 다시 F1 키를 누르고 'ftp-simple: Remote directory open to workspace'를 검색한 후 클릭한다.

 

 

 

 

 

그러면 본인의 아이디가 나오고, 그걸 클릭하면 .current directory 라는 것이 나온다.

또 그것을 클릭하면 '신뢰하시겠습니까?' 이런 화면이 나타난다. 그러면 '예'를 누르면 된다.

 

 

 

 

짜잔 ! 

아까 내가 파일질라로 전송했던 것이 나타나게 된다.

 

만약 내가 파일질라로 도메인 페이지에 들어갈 html, css 파일을 전송했는데, 수정해야할 것이 생기면

이렇게 'ftp-simple' 플러그인을 이용해 원격 접속한 후, 이곳에서 수정 작업을 하면 된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것은 수정 전 무조건 원본을 'backup' 해 놓을 것을 추천한다 !

 

 

 


 

PHP(PHP: Hypertext Preprocessor)

: PHP는 C언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버 측에서 실행되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이다.

 

PHP로 작성된 코드를 HTML 코드 안에 추가하면, 웹 서버는 해당 코드를 해석하여 자동으로 HTML 문서를

생성한다. 따라서 PHP를 사용하면 동적으로 빠르게 HTML 문서를 만들 수 있다.

 

* 동적 웹 페이지(dynamic web page)란?

: 서버가 사용자의 요청을 해석하고, 해당 데이터를 가공하여 생성하는 웹 페이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웹 페이지를 볼 수 있게 된다.

 

 

<PHP의 특징>

  • PHP의 장점

1. 주요 운영체제와 대부분의 웹 서버에서 지원합니다.

2.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직관적으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서, 작성해야 하는 코드의 양이 적다.

3. 텍스트 처리에 특화되어 있어 HTML 문서 처리에 적합하다.

 

  • PHP의 단점

1. 간단한 사이트를 제작하기 위해 만든 언어라서 복잡한 사이트를 만드는 데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2. 보안에 안전하지 않은 언어 구조를 가진다.

 

 

 

<PHP의 동작 원리>

PHP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작동을 한다.

 

PHP파서와 Database의 화살표가 쌍방향인 이유는 상호소통하며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Server-side 언어를 우리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앞서 보았듯이 보안에 취약하고 큰 큐모로 사용되기 어렵기에 JSPASP.NET으로 대체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소규모, 개인 웹사이트에서는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형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된다.

그렇기에 여전히 10% 가량되는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PHP 기초>

 : PHP는 CSS나 JavaScript와 마찬가지로 어디서 어디까지가 해당 언어인지 코드 영역을 나타내야한다.

이 구문이 PHP 코드임을 확실히 하기 위해 반드시 코드의 시작과 끝에 PHP 코드 삽입을 알려야 한다.

 

<style>
css에서는...
</style>
//
<script>
javascript에서는...
</script>
//
<?PHP
PHP에서는...
?>

 

참고로 아래의 세 가지 코드 모두 작동한다.

PHP 코드가 끝나면 자동으로 세미콜론으로 닫아주기 때문인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각 코드가 끝날 때마다 세미콜론을 붙여주고, 마지막에는 세미콜론을 생략할 수 있다.

마지막 구문에서는 ?>로 닫아줘야 한다.

 

<?PHP
echo "PHP에서는..."; //echo는 c언어의 printf와 같은 함수이다. (실제로는 language construct이다)
?>

<?PHP
echo "PHP에서는...";
?>

<?PHP
echo ("PHP에서는..."); /*괄호를 써도 무관하다. 
인자가 두 개 이상이면 괄호는 쓰면 안된다.*/

 

 

주석은 위와 같이 c언어의 한 줄 주석(//)여러 줄 주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으로 한 줄 주석을 달 수 있는데 보통 //을 사용한다.

 

PHP 키워드는 함수나 키워드에 대해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

즉, ECHO, Echo, echo는 모두 동일한 결과를 가져온다.

변수는 대소문자 구분을 하기 때문에 ECHO라고 써도 된다.

 

 

 

 

 

 

 

* 내용 출처 

: http://www.tcpschool.com/php/intr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