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JavaScript

생활코딩 JavaScript 강의 - 변수, 연산자, 조건문

posey 2023. 2. 2. 23:48

 

  • 생활코딩 JavaScript 강의 - 변수, 연산자, 조건문



Review
 
 
 


 

  • 생활코딩 JavaScript - 변수, 연산자, 조건문

 
 
<변수 - variable>
 
: 문자와 숫자 등의 값을 담는 컨테이너로 값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여기에 담겨진 값은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있다.
 

var
변수 이름은 $, _ 혹은 특수문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로 시작할 수 있다.

var a = 1;
alert(a);

a = 1;
b = 2;
alert(a+b);
변수에는 문자도 들어갈 수 있다.

var first = 'coding';

변수는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여준다.

//주석쓰는 법
//슬래시 두 개 or /* 여러 줄 사용 시 */
//코드를 설명할 때 사용하거나 어떤 코드를 일시적으로 멈출 때 사용한다.

 
 


 
 
<줄바꿈과 여백>
 
: ' ; ' 은 세미콜론. 명령이 끝났다는 표현이다.
여백은 tab 키를 입력하면 된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연산자>
: 어떤 작업을 컴퓨터에게 지시하기 위한 기호이다.
 
' = ' 는 우향의 값을 좌항의 변수 a에 대입하는 '대입 연산자'
a = 1
 
'비교 연산자'는 주어진 값들이 같은지, 다른지, 큰지, 작은지를 구분한다.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true 나 false 중 하나이다.
 

==
동등 연산자. 좌항과 우항을 비교해
서로 값이 같다면 true,
다르다면 false가 된다.
alert (1 == 2) //false
alert (1 == 1) //true
alert("one" == "two") //false

= 는 대입 연산자로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



===
일치 연산자. 
좌항과 우항이 '정확하게' 같을 때 true,
다르다면 false가 된다.
alert (1 === "1") //false 데이터의 형식도 정확히 일치해야함
alert (1 == 1) //true 정보의 '의미'가 동일해서 true가 됨

 
 
null 은 값이 없다는 것. 프로그래머가 의도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undefined 는 정의되지 않았다는 것. 프로그래머가 정의하지 않은 것이다.
 
true와 false는 Boolean의 데이터 타입이다.
 
 


 
<부정과 부등호>
 

//부정과 부등호
! 는 부정을 의미한다.
!= 는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 는 정확하게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 연산자
> 좌항이 우항보다 크다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
>= 좌항이 우항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

 
 


 
 
<조건문>
 
: if (조건). 조건이 될 수 있는 값은 boolean이다.
 true면 실행되고, false면 실행되지 않는다.
 

if(true) {
	alert('result: ture');
} //실행됨

if(false) {
	alert('');
}

 

if 문의 조건이 참이면 중괄호의 시작({ 부터 중괄호의 끝 }) 까지의 구간이 실행된다.
거짓이면 중괄호 구간이 실행되지 않는다.
 
 

//else는 무엇?

if(true) {
	alert(1);
} else {
	alert(2);
}

 

else if의 특징은 if나 else와는 다르게 여러 개가 올 수 있다.
 
 
 

//조건문의 활용
//변수와 비교 연산자

prompt('당신의 나이는?');
어떤 값을 사용자에게 받을 수 있는 기능

id = prompt('아이디를 입력해주세요.');
if (id == 'egoing') {
    password = prompt('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if (password === '111111') {
    	alert('인증했습니다.');
    } else {
    	alert('인증에 실패했습니다.');
} else {
    alert('인증에 실패했습니다.');
}
//if문 안에 다시 if문 쓰기 가능

 
 
 
<논리 연산자>
 

&&
좌항과 우항이 모두 참일 때 참이 된다.
즉, && 연산자의 좌항과 우항이 모두 참일 때 전체가 참이 되는 것이다.


|| 
or연산자. 좌항과 우항 중 하나라도 참이라면 참이 된다.


!
not 연산자. 부정의 의미로, Boolean의 값을 역전시킨다.
true를 false로, false를 true로 만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