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Illustrator

Photoshop 복습, illustration 시작

posey 2022. 9. 26. 09:16

2022.09.26.

  • UI/UX 반응형 웹디자인&웹퍼블리셔 개발자 과정 - DAY 9

 




Review

오늘은 마지막으로 포토샵을 복습하고 나서 일러스트를 시작했다.
나는 원래 스케치를 잘 못해서 그런지 일러스트가 훨씬 어려웠다. 수작업이고 일일이
그려야 해서 엄청 멘붕이 왔는데 다른 분들은 일러스트를 더 잘하시는 듯해서
더 멘붕이 왔다. 실무에서는 일러스트로 일일이 그려야 하는 일은 잘 없다고 하셔서
좀 다행인가 싶긴 했는데 그래도 연습을 많이 해야할 것 같다.

일러스트는 포토샵처럼 History도 없고 기록을 하기가 애매한 부분이 있어서
예제 완성한 부분과 꼭 암기해야 할 부분만 주석을 다는 식으로 기록하려고 한다.

 

주말에 교보문고에 가서 GTQ 시험 서적을 보고 집에 와서 어떻게 공부해나갈지에 대해

고민을 했다. GTQ는 포토샵, 일러스트 시험을 하루에 다 볼 수 있기 때문에

12월쯤 시험을 보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고, 일단 서적도 하나 구입해야할 것 같다.

곧 코딩 수업이 시작될 것 같아서 그 전에 사실 시험을 치고 싶지만 시간이 될지 모르겠다

ㅠㅠ 

 

집에서 연습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라이선스를 어떻게 할지 고민이 크다.

구입하기엔 너무 비용이 만만찮아서 체험판을 받아야지 할지 학원에 나와서 연습을 할지

아직 고민중이다.

일단 학원에서 최대한 연습을 해보고 나서 나중에 고민해봐야겠다.

 

파이팅-





 

  • UI/UX 반응형 웹디자인&웹퍼블리셔 개발자 과정 - DAY 9

 


Filter - Blur - Smart Blur 에 들어가서 Noise를 제거하고 Blur를 적용하는 필터를 실행해보았다.

- Radius : Blur의 직접적인 크기
- Threshold : 한계 영역 (범위)


<노이즈 제거>
- 휘도 노이즈 : 밝기가 다른 입자들이 섞여있다.
- 색상 노이즈 - 다양한 색상들이 섞여있다.
- Smart Blur : 이미지의 선명도는 유지하고 노이즈만 제거하는 필터


Filter - Camera Raw 에 들어가서는 Smart Filter 보다 좀 더 고급 기능들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일일이 조절해가면서 한번 익혀보았다.



 



포토샵에서 인물 사진 보정 중 피부 보정을 하려면 Spot Healing Brush나 Healing Brush를
활용해도 되고, Filter - Camera Raw 를 활용해도 된다.

Masking 수치를 높여줄수록 색상이나 명도 대비가 심한 영역 위주로 선명도를 높여준다.




<Alpha Channel을 이용해 선택하는 예제>


Ctrl + A 해서 Select All 해준다. 그 다음 Ctrl + C 해서 복사한 뒤,


New Channel을 만들어주고, 거기다가 Ctrl + V 해서 붙여넣기 한다.


Image - Adjustments - Levels 에서 흑과 백이 극명하게 구분되도록 조절한다.


Alpha 1을 눌러 선택한 다음,
Ctrl + Shift + I 를 눌러 Inverse 시킨 후 RGB 글씨를 선택한다.


New Layer 추가하여 Alt + Delete 눌러 검정색으로 채워준다.

예제 완료


그러고 나서 Background Layer의 눈을 꺼주면 정확하게 선택되었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Layer Style에서 Blending Optiion - Blend if - Underlying Layer를 조절해봤다.
Alt 키를 누른 채로 스펙트럼에 있는 화살표를 조절하면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는 오른쪽으로 보냈는데, 이미지의 밝은 부분에 있는 광택이 강조되었다.


 


계조란 흰색과 검정색 사이에 얼마나 많은 단계를 갖고 있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는 8bit, 즉, 256단계의 명도를 가진다.

Hue/Saturation에서 Saturation (채도)만 높이면 단계가 무너지면서 이미지가 손상된다.
Vibrance는 이미지를 보호하면서, 즉, 계조를 보호하면서 채도만 조금 높일 수 있다.
하지만 Vibrance는 오렌지나 주황 계열은 이미지 손상이 잘 안되지만 다른 색일 경우는 다르다.

다음은 Lab Mode를 통해 채도를 조절해볼 것이다.




<Lab 모드를 통한 채도 조절 예제>


Image - Mode - Lab Color를 클릭하면,


Channel에서 보면 Lab Color Channel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인간의 색상 인지 능력을 기초로 표현하며, RGB(모니터)와 CMYK(인쇄)에 좌우되지 않는
독립적인 방법으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RGB와 CMYK의 범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색상 범위이다.

- a : 적색과 녹색의 축
- b : 청색과 황색의 축


Lightness Channel을 선택하고
Image - Apply Image에 들어가 Channel은 a를 선택한 후 Overlay를 적용한다.


다음은 a Channel을 선택 후 Image - Apply Image에 들어가 Channel은 a를 선택한 후 Overlay를 적용한다.


b Channel을 선택 후 Image - Apply Image에 들어가 이번에는 Channel b를 선택한 후 Overlay를 적용한다.

예제 완성

 

Apply Image에서 Overlay를 각 Channel 별로 적용시킨 결과, 채도가 높아졌는데
계조는 유지가 되니 사실상 이미지의 손상은 없이 채도만 높아진 것이다.


Filter - Camera Raw Filter 에서 오른쪽 하단 옵션을 보면
Before/After 나뉘어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이 있다.
이걸 활용하면 작업할 때 좀 더 수월할 것 같다.








<연필 스케치/드로잉 효과 예제>


Background Layer를 Copy한다.


Layer 1을 선택한 후 Image - Adjustments - Desaturate를 눌러주면 채도가 빠진다.


Image - Adjustments - Shadows/Highlights에 들어가
밝은 부분은 밝게 해주고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조정할 수 있다.


Layer 1을 복제한 다음 Image - Adjustments - Invert 시키면 흑과 백이 반전된다.


그러고 나서 Filter - Noise - Add Noise에서 위와 같이 적용시킨다.

 


Layer 1 copy에다가 Blend Mode를 Color Dodge로 설정한다.

 

Background Layer를 복제해서 제일 위로 배치한다.

 

Background copy Layer를 선택 후 Blend Mode를 Color로 설정하면 스케치한 질감을 낸다.


Image - Adjustments - Levels 에서 조금 더 스케치 질감이 나타나는 효과를 내도록 설정했다.


 


Background Layer를 Copy한 후 Layer 1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해 Convert to Smart object로
변경한다.

 

Filter - Camera Raw Filter로 들어가서 Detail에서 Sharpening, Masking, Noise Reduction 등을 활용해
노이즈를 제거해주면서 선명도를 더 높이는 효과를 적용하고,
Color Mixer에서도 색상을 드래그 해 조절하면서 이미지에 좀 더 어울리는 색상으로 적용했다.

예제 완성

 


원본 이미지

 


Filter - Camer Raw Filter에서 Hue, Saturation, Luminance 등 각각을 적용하고,


Basic에서도 이것저것 효과를 적용시켜 원본보다 조금 더 따뜻한 색감으로 나타나게 했다.

예제 완성




<빛 반사된 부분 강조하기 예제>




Layer를 하나 추가해서,


Brush를 들고 흰색으로 빛이 반사되는 부분을 콕콕 찍어준다.
그러고 나서 Layer 1의 Blend Mode를 Screen으로 변경한다.

예제 완성


Opacity를 조금 줄여주면 더 자연스럽게 변한다.






<Illustratiion 시작>

- 확대 : Ctrl + +
- 축소 : Ctrl + -
- 손툴 : Space bar
- 100%: Ctrl + 1
- Fit : Ctrl + 0
- Ctrl + [ : 한 단계씩 뒤로
- Ctrl + D : 반복 복사
- X : 왼쪽 칸이 좁아짐
- C : 오른쪽 칸이 좁아짐
- V : 위쪽 칸이 좁아짐
- F : 아래쪽 칸이 좁아짐

 

예제 완성


일러스트는 포토샵과 달리 History와 Layer 배치가 중요하지 않고
옮길 때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해 Arrange - Bring to Front로 해서 앞에 보이도록 배치하면 된다.

일러스트에는 포토샵처럼 History가 없어서 뒤로 돌아갈 때 Ctrl + Z를 누르면 이전 단계로 돌아간다.
그리고 같은 것을 복사할 때는 Alt 키를 누른 채로 이동 툴로 잡아당기면 복제된다.

이미지를 이동할 때 그룹으로 묶어 함께 옮기려면 Ctrl + G 를 누르면 묶을 수 있다.
그룹을 해제하여 따로 옮기고 싶다면 Edit - Ungroup 을 누르면 분리된다.


 

예제 완성

 

예제 완성


바꿀 영역을 먼저 이동 툴로 선택한 다음, 스포이드로 바꿀 색상에 갖다대고 클릭하면 된다.
주의할 것은 면인지 Stroke인지 이동 툴로 움직이면서 구분해보는 것이 좋다.


 

 

 


 

 

 


 

 

 

 


 

 


각각 선택 툴로 선택 후 스포이드로 바꿀 색상에 갖다 대서 클릭하여 색을 바꾼다.
옮길 때 Ctrl + G를 해서 선택한 영역을 그룹으로 묶으면 편리하다.

Stroke까지 포함해서 색상을 바꾸는 게 아니라 색상만 바꾸고 싶을 때는 Shift를 누른 채로
스포이드를 클릭하면 된다.


 

예제 완성


각각 순서대로 쌓는다.
뒤쪽으로 배치되어 가리는 것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Arrange - Bring to Front로
앞으로 정렬시키면 된다.
다 쌓은 후 한꺼번에 선택하여 Ctrl + G을 눌러 그룹으로 만든다.
Window - Align을 눌러 가운데 정렬 시키면 완성이다.


 

예제 완성

 


 

 


Curvature Tool을 이용해 그린 후 상단 옵션 바에서 Fill로 색을 채웠다.


 

 

예제 완성


Line Segment Tool을 이용해 그렸다.


 

 

예제 완성


Line Segment Tool과 Spiral Tool을 이용해 그렸다.
굵기가 다 달라서 Windows - Stroke 옵션을 켜서 Dashed line을 적용하기도 하고,
다양한 효과를 주었다.






 

*이미지 출처
Instagram : @page_737,
/ Pixabay

*내용 출처
: https://www.gilbut.co.kr/book/view?bookcode=BN003325#bookData

반응형